길이가 같은 배열 A, B 두개가 있습니다. 각 배열은 자연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. 배열 A, B에서 각각 한 개의 숫자를 뽑아 두 수를 곱합니다. 이러한 과정을 배열의 길이만큼 반복하며, 두 수를 곱한 값을 누적하여 더합니다. 이때 최종적으로 누적된 값이 최소가 되도록 만드는 것이 목표입니다. (단, 각 배열에서 k번째 숫자를 뽑았다면 다음에 k번째 숫자는 다시 뽑을 수 없습니다.)
예를 들어 A = [1, 4, 2] , B = [5, 4, 4] 라면
A에서 첫번째 숫자인 1, B에서 첫번째 숫자인 5를 뽑아 곱하여 더합니다. (누적된 값 : 0 + 5(1x5) = 5)
A에서 두번째 숫자인 4, B에서 세번째 숫자인 4를 뽑아 곱하여 더합니다. (누적된 값 : 5 + 16(4x4) = 21)
A에서 세번째 숫자인 2, B에서 두번째 숫자인 4를 뽑아 곱하여 더합니다. (누적된 값 : 21 + 8(2x4) = 29)
즉, 이 경우가 최소가 되므로 29를 return 합니다.
배열 A, B가 주어질 때 최종적으로 누적된 최솟값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.
class Solution { boolean isCollectOne(int n,int originCount) { if(countOne(n) == originCount) { return true; } return false; } int countOne(int n) { int count = 0; char[] bit = (Integer.toBinaryString(n)).toCharArray(); for(int i=0;i<bit.length;i++) { if(bit[i] == '1') { count++; } }
return count; }
public int solution(int n) { int answer = 0; int num = n+1; int originCount = countOne(n); while(!isCollectOne(num++,originCount)) { } answer = num-1; return answer; } }
메모
문자열로 푸는 방식은 우아하다기보다는 경우의 수가 3개정도 나오고 그에 대한 처리를 하는 방식이었음
뭔가 문제에서 유추할 수 있는 방식이 아니라 생각하여서 브루트포스로 푸는것도 나쁘지 않아보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