프로그래머스 2레벨 12953 N개의 최소공배수 JAVA

문제

링크 : https://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12953

두 수의 최소공배수(Least Common Multiple)란 입력된 두 수의 배수 중 공통이 되는 가장 작은 숫자를 의미합니다. 예를 들어 2와 7의 최소공배수는 14가 됩니다. 정의를 확장해서, n개의 수의 최소공배수는 n 개의 수들의 배수 중 공통이 되는 가장 작은 숫자가 됩니다. n개의 숫자를 담은 배열 arr이 입력되었을 때 이 수들의 최소공배수를 반환하는 함수, solution을 완성해 주세요.

풀이

문제 그대로 최소공배수를 구하는 문제

gcd는 유클리드 호제법이라는 방법을 사용했고

두 수의 최소공배수는 두 수의 곱을 두 수의 최대공약수로 나누면 된다.

만약 모른다고 하여도 금방 찾아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임! ✍

코드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36
37
class Solution {


static int gcd(int numA,int numB)
{
int result = 0;
if(numA % numB == 0)
{
return numB;
}
else
{
result = gcd(numB,numA % numB);
}
return result;
}
static int lcd(int numA, int numB) {
int result = 0;
int gcd = 0;
gcd = gcd(numA,numB);

return (numA * numB)/gcd;
}

public int solution(int[] arr) {

int answer = 0;
int numA = arr[0];
for(int i = 1;i<arr.length;i++)
{
numA = lcd(numA,arr[i]);
}
answer = numA;
return answer;
}

}

메모

스스로 풀었는가 : ✅

프로그래머스 2레벨 12905 가장 큰 정사각형 찾기

문제

링크 : https://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12905

1와 0로 채워진 표(board)가 있습니다. 표 1칸은 1 x 1 의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. 표에서 1로 이루어진 가장 큰 정사각형을 찾아 넓이를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. (단, 정사각형이란 축에 평행한 정사각형을 말합니다.)

풀이

배열의 각 요소를 왼쪽,위,왼쪽 위의 값 중 최솟값 +1로 갱신하여 최대 크기를 구할 수 있다.
최솟값인 이유는 정사각형이기 때문이다.
현 위치에서 가능한 최대 정사각형의 크기를 저장한다는 점에서 메모라이제이션 느낌을 받았다.

코드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class Solution {
public static int solution(int [][]board)
{
int answer = board[0][0];
int r = board.length;
int c = board[0].length;
for(int i=1;i<r;i++)
{
for(int j=1;j<c;j++)
{
if(board[i][j] == 1)
{
board[i][j] = Math.min(board[i-1][j],board[i-1][j-1]);
board[i][j] = Math.min(board[i][j-1],board[i][j]) + 1;
answer = Math.max(answer,board[i][j]);
}

}
}
return (int)Math.pow(answer,2);
}

}

메모

문제는 간단한데 막상 풀려니 풀이가 떠오르지 않은 문제🙃
스스로 풀었는가 : ❎

프로그래머스 2레벨 12951 JadenCase

문제

링크 : https://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12951

JadenCase란 모든 단어의 첫 문자가 대문자이고, 그 외의 알파벳은 소문자인 문자열입니다. 문자열 s가 주어졌을 때, s를 JadenCase로 바꾼 문자열을 리턴하는 함수, solution을 완성해주세요.

풀이

언어에서 지원하는 메소드를 쓰거나 아스키코드로 처리하면 쉽게 풀 수 있는 문제

문제에서 나온 JadenCase를 그대로 만들어주면 됨

코드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class Solution {
public String solution(String s)
{
char[] charArr = s.toCharArray();
boolean prevBlank = true;
StringBuilder answer = new StringBuilder();
for(int i=0;i<charArr.length;i++)
{
if(charArr[i] == ' ')
{
answer.append(' ');
prevBlank = true;
}
else
{
if(prevBlank)
{
prevBlank = false;
charArr[i] = Character.toUpperCase(charArr[i]);
}
else
{
charArr[i] = Character.toLowerCase(charArr[i]);
}
answer.append(charArr[i]);
}
}

return answer.toString();
}

}

메모

StringBuffer -> 기본적으로 주어진 크기가 적음

StringBuilder -> 기본적으로 주어진 크기가 큼

문자열 크기가 상관없다면 StringBuilder 사용할 것

프로그래머스 2레벨 12945 피보나치수(메모라이제이션)

문제

링크 : https://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12945

피보나치 수는 F(0) = 0, F(1) = 1일 때, 1 이상의 n에 대하여 F(n) = F(n-1) + F(n-2) 가 적용되는 수 입니다.

예를들어

  • F(2) = F(0) + F(1) = 0 + 1 = 1
  • F(3) = F(1) + F(2) = 1 + 1 = 2
  • F(4) = F(2) + F(3) = 1 + 2 = 3
  • F(5) = F(3) + F(4) = 2 + 3 = 5

와 같이 이어집니다.

2 이상의 n이 입력되었을 때, n번째 피보나치 수를 1234567으로 나눈 나머지를 리턴하는 함수, solution을 완성해 주세요.

풀이

오랜만에 다시 푼 피보나치 문제

n이 100000이하일 수 있는데 일반적인 피보나치로는 끝이나지 않아 통과하지 못할 것

따라서 메모라이제이션 기법을 써서 풀어야함

n이 크면 계산된 수가 커질 수 있는데 문제에서 나누라고한 값으로 나눈 나머지를 저장해주면 됨

코드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36
37
38
import java.util.Arrays;

class Solution {
int MAX = 100000+1;
int dp[] = new int[MAX];
int divNum = 1234567;
int fibo(int n)
{
if(n == 0)
{
return 0;
}
if(n == 1)
{
return 1;
}

if(dp[n-1]== -1)
{
dp[n-1] = fibo(n-1) % divNum;
}

if(dp[n-2] == -1)
{
dp[n-2] = fibo(n-2) % divNum;
}

return (dp[n-2] + dp[n-1]) % divNum;
}

public int solution(int n) {
int answer = 0;
Arrays.fill(dp, -1);
answer = fibo(n);

return answer;
}
}

메모

어렵지 않은 문제였음